본문
이 글에서는 크롬OS, 크로미움OS의 배포판을 고르고 설치하는 과정을 안내하게 됩니다.
우선 크롬OS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하지 않겠습니다. 크롬OS가 기본 탑재된 PC가 아닐 경우, 설치 할 수 없습니다.
대신, 크롬 브라우저와 크로미움 브라우저의 관계 처럼 오픈소스로 공개된 크로미움OS를 설치하게 될 겁니다.
크로미움OS는 가볍고, 웹브라우징에 있어서는 정말 훌륭하다고 느낄만한 반응속도를 보여줍니다. 태블릿에서 사용하기에는 정말 안성맞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스타일러스 펜의 경우 제대로 지원을 하지않으며, 그래픽 드라이버를 제대로 지원하지 않을 경우 버벅거리기도 합니다.
또한 할 수 있는 작업들이 한정되기 때문에 리눅스와 사용하거나, 윈도우즈와 사용하려고 하는데, 윈도우즈와의 듀얼부팅의 경우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우선 듀얼부팅과 상관없이 PC또는 태블릿에 설치할수 있는 크로미움OS의 배포판은 3가지입니다.
neverware의 Cloud Ready (https://www.neverware.com/#introtext-3 )
ArnoldTheBat의 빌드 (https://arnoldthebat.co.uk/wordpress/chromium-os/)
fydeOS (https://fydeos.com/)
클라우드 레디의 경우 제일 간단한 설치방법입니다. 제공되는 USB 설치 도구를 사용하면 알아서 USB를 만들어줍니다.
ArnoldTheBat의 빌드의 경우 설치과정에 있어서는 조금 불친절한 UI이지만 크로미움OS에서 몇몇 드라이버를 추가하고 제일 순정에 가깝습니다.
fydeOS의 경우 중국에서 배포되고 있으며, 설치가 그렇게 어려운 편이 아닙니다. 유일하게 플레이 스토어를 지원하지만 다른 배포판과는 달리 구글 동기화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로컬 계정을 통해서 사용해야합니다. 커뮤니티의 경우 중국어를 사용하고있으며 듀얼부팅 설치를 지원합니다.
fydeOS를 사용할때 플레이스토어가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뜨지 않기 때문에 크로미움에서 구글에 접속 한 뒤, 플레이 스토어를 검색 하여 들어가면 상단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접속을 안내합니다. 그 경로를 통해서 접속하시면 되겠습니다.
Cloud Ready | ArnoldTheBat | fydeOS | |
설치하기 편한가? | O | O | O |
듀얼 부팅 | X | ? | O |
플레이 스토어 지원 | X | X | O |
구글 계정 동기화 지원 | O | O | X |
개인적으로 추천 드리는 방법은 USB를 통하여 각각의 배포판을 써본 뒤, 괜찮다고 느껴지는 배포판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각 배포판마다 호환되는것과, 설정, 드라이버 등등이 차이가 나기때문에 미리 USB를 통해서 사용해봅니다.
USB를 통해서 만들 경우 USB의 파티션이 11개까지 생성되기도 합니다.
Cloud Ready의 경우 제공되는 유틸리티를 사용해서 설치한 뒤 USB 를 통해 부팅합니다.
ArnoldTheBat의 경우 제공되는 롬파일을 win32diskimager를 통해서 USB에 쓰기 작업을 해주시면 됩니다.
fydeOS의 경우 제공되는 압축파일을 balenaEtcher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USB에 쓰기 작업을 해주시면 됩니다.
HDD나 SSD에 설치하고 싶은 경우 USB으로 부팅 한 뒤, 우측 하단의 시계표시를 눌러 설치작업을 실시해주시면 됩니다.
다만 기존의 HDD나 SSD에 작성되어있던 자료는 모두 초기화되기 때문에 자료에 유의하셔야 하며, 파티션들도 전부 날아갑니다.
Cloud Ready의 경우, 윈도우 10 부터 충돌이 일어나기때문에 듀얼부팅 지원을 종료하였고,
ArnoldTheBat의 경우, 듀얼부팅을 지원하긴 하는것같은데... 잘모르겠습니다.
(http://techpp.com/2011/10/11/how-to-dual-boot-chromium-os-with-windows/ )
링크를 참조하면 가능하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오래된 글이기도 해서 저는 사용하지않았습니다.
fydeOS를 설치하고 듀얼부팅을 해봅시다.
기본적으로 HDD나 SSD에 설치 할 경우 실수로 인해서 파일 시스템이 날아갈 수 있으니 백업을 권장합니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서 파일이 날아간다고 하더라도 작성자는 책임지지않습니다.
우선, 설치하기전, 윈도우즈에서 파티션을 설정해줍니다.
디스크 관리에서 파티션이 아닌 빈 공간을 33GB가량 설정해 줍니다.
이 빈 공간을 어디에 만드냐에 따라서 나중에 명령어에 sda가 들어갈지 sdb가 들어갈지 정해집니다.
저는 Disk 0을 기준으로 설명해드립니다.
또한, 원래는 EFI부트매니저를 먼저 설치하고 돌리는것이라고 하는데, 저는 그냥 fydeOS먼저 설치했습니다.
이제 fydeOS로 부팅합니다.
fydeOS에서 그냥 Ctrl + Alt + F2를 눌러서 콘솔을 여셔도 되고, 웹브라우저에서 Ctrl + Alt + T를 눌러서 콘솔을 여셔도 됩니다.
유저의 이름과 비밀번호는 chronos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shell을 입력합니다.
sudo dual-boot-install -d /dev/sda
를 입력합니다.
아마 user와 password를 물을겁니다. chronos를 입력합니다.
설치를 진행할지 물어보는 창이 나오면 y를 눌러 설치를 완료합니다.
그러고나서 재부팅하면 별다른 변경사항없이 윈도우즈로 부팅하게 됩니다.
이제 EFI 부트 매니저를 설치합니다. (해당 방법은 저는 사용상의 문제가 없어 그냥 사용중입니다. 어떠한 오류가 생기더라도 책임지지 않습니다.)
rEFInd 부트 매니저를 사용합니다.
http://www.rodsbooks.com/refind/
http://www.rodsbooks.com/refind/getting.html
에서 바이너리 zip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0B_NCp06S3NUmUVpNR2RheHpOTlk/view
에서 PizzaG Windows 10 EFI Partition Helper 를 다운로드 합니다.
파티션 헬퍼를 압축 해제 한 뒤, bat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주고 몇번 아무키나 눌러주면 explorer 프로세스가 다시 시작되고 explorer프로그램이 켜져서 z드라이브가 생긴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z드라이브에 들어 간 뒤, EFI 폴더에 들어갑니다.
refind폴더를 작성한 뒤 그 안에 refind 바이너리 압축 파일내부의 refind폴더에 들어간 뒤
이 파일들을 넣어주고 refind.conf-sample의 이름을 refind.conf로 변경해줍니다.
결국 z드라이브안의 EFI 폴더안의 refind폴더에 해당 파일들과 폴더가 있어야합니다.
또한 rEFInd의 경우 터치스크린을 지원하기 때문에
앞에서 넣어준 refind.conf를 텍스트 에디터로 연 다음 #enable_touch를 검색한 뒤
앞의 #을 삭제해주고 저장을 하면 터치스크린으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열어주고,
bcdedit /set {bootmgr} path \EFI\refind\refind_x64.efi
bcdedit /set {bootmgr} description "rEFInd Boot Manager"
를 입력합니다.
2번째 줄의 명령어는 하지않아도 됩니다. 명령어에서 보이다 시피, z드라이브 내에 해당 폴더에 해당 파일이 있어야합니다.
그러고나서 재부팅하면
부팅이 가능합니다.
터치의 경우 인식을 할 수 있도록 조금 긴 시간동안 눌러준 뒤 떼면 인식이 됩니다.
제 태블릿의 경우 브로드컴의 칩셋을 사용중인데, 와이파이 중에서도 2.4GHz대역의 와이파이는 잡히지 않습니다.
5GHz의 와이파이는 잡히더라구요. 한번 확인해보시는것도 추천합니다. 또한 무선랜 드라이버 변경방법의 경우 fydeOS의 설정 초기화면에서 접근성 메뉴에 있었던걸로 기억합니다.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 임시 저장용 링크. (0) | 2021.11.02 |
---|---|
샤오미 공유기 2세대 청춘판 - padavan 설치법 (0) | 2019.01.26 |
샤오미 공유기 2세대 청춘판 - openwrt 설치법 (0) | 2019.01.26 |
Pulseway를 통한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 (0) | 2019.01.26 |
창크기 정확하게 딱딱 맞추기 Sizer4 (0) | 2019.01.26 |